|
합기도는 스포츠가 아니다.
합기도는 경기에 의해 승패 또는 1, 2등을 가리는 경기체육이 아니고 "생" "사"를 결정짓는 절대 생존의 싸움을 대비한 수련의 고행이다. 그러므로 육체적 단련과 함께 정신적 연마가 필요불가결 하다는 것을 깊이 인식할때 정신문화적인 기조위에서만 신체의 건강함이 이루어 질 수 있다 하겠다. 이와같이 정신적 측면을 강조하는 합기도에 있어서 근본적이며 기본적인 이념을 합기도인이면 누구나 깊이 천착하여 인격적으로나 신체적으로 위대한 한국의 합기도인이 되도록 최선을 다해야 하겠다.
근본이념 " 통성 - 지명 - 보정 "은 우리의 조상이신 단군시대의 경전인 삼일신고 진리훈에서 기술하고 있는 인격완성의 세가지 참된 요소를 인용한 것으로서 다음과 같다. |
통성通性의 원圓 |
인간의 본질은 마음에 있는 것으로서, 이를 지배하는 느낌에는 기쁨, 슬픔, 두려움, 성남, 탐냄, 싫음이 있어, 인간의 본질인 마음을 어지럽히니, 마음이 어지럽고 않은 분량을 조절하여 평하게 하여 원과 같이 모나지 않게 함으로서 본질을 통하여 덕을 갖추고자 하는 것이다. |
지명知明의 방方 |
인간의 본래 존재는 기(氣)에 있는 것으로서, 이를 지배하는 숨에는 향내, 술내, 추위, 더위, 번개, 물기가 있어 인간의 본래 존재인 숨쉬임을 그르치니 숨쉬임의 그르치고 안 그르치는 정도를 조정하여 화하게 하며 방(□)과 같이 사 귀의 위치가 정연하여 어느 한편에 쏠리지 않게 함으로서 결론을 깨우쳐 지혜를 갖추고자 하는 것이다. |
보정補精의 각角 |
인간의 본 모습은 육신에 있는 것으로서 이를 지배하는 부딪침에는 소리, 빛, 냄새, 맛, 음탕, 다침이 있어 인간의 본래 모양인 몸을 해치니 부딪침의 해롭거나 이로움의 균형을 조절하여 편강하게 하여 각(△)과 같이 삼 귀의 자리가 맞물리어 어느 한편으로 기울지 않게 함으로서 본 모습을 보전하여 힘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
|
|